한국장애인개발원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구독신청
한국장애인개발원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기사

섹션과 코너

언제나

안전한 삶터

제목 작성자 전문

BF인증시설, 잘 유지되고 있나요?

성남 ‘수정커뮤니티센터·위례동 행정복지센터’

글. 김태일 + 사진. 봉재석

우리 원은 모두에게 편리한 생활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Barrier Free, 이하 BF)인증과 사후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사후관리는 인증 취득 건축물이 지속적으로 인증을 취득한 때와 동일한 수준(환경)으로 유지·관리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사업이다. 우리 원 BF인증팀과 지체장애인 김진철 심의위원, 시각장애인 홍서준 씨가 성남시에 위치한 BF인증시설의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 모두가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BF 시설 인증을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필요하고 유지관리는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사후관리 현장에 동행해 알아봤다.

본문

수정커뮤니티센터 전경

수정커뮤니티센터 전경

실용과 휴식을 함께 제공하는 ‘수정커뮤니티센터’
(인증기간 : 2021.4.15. ~ 2031.4.14.)

수정커뮤니티센터는 성남시 수정구 탄리로 57에 자리한다. 수인분당선 태평역에서 도보로 12분이면 갈 수 있는 거리다. 주거촌과 상가촌이 어우러져 높은 접근성을 자랑하는 만큼 주민들이 1층 벤치에 삼삼오오 모여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건물의 첫인상은 주차건물을 겸하고 있어 거대하고 단정했다. 총면적 2만 7,656㎡로 네모반듯한 틀에 각진 철골 구조물이 건물 전체를 두르고 있다.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에는 반려동물돌봄센터, 성남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성남도시개발공사 등 지원센터부터 공동체 공간, 커뮤니티 홀, 다목적 강당 같은 문화 공간까지 시민을 위한 다양한 공간이 마련됐다. 지상 2층 일부 공간부터 7층까지는 전기차 충전소를 포함해 총 635면의 주차 공간으로 구성됐고, 옥상에는 게이트볼장과 함께 정원이 자리해 실용과 휴식을 모두 제공한다.

홍서준 씨가 점자안내판을 읽고 있다.

홍서준 씨가 점자안내판을 읽고 있다.

홍서준 씨가 계단 안전 손잡이에 설치된 시각장애인 점자안내판을 읽고 있다.

홍서준 씨가 계단 안전 손잡이에 설치된 시각장애인 점자안내판을 읽고 있다.

계단 겸용 수직형 휠체어 리프트

계단 겸용 수직형 휠체어 리프트

‌차간 공간과 건물로 이어지는 통로를 확보했다.

‌차간 공간과 건물로 이어지는 통로를 확보했다.

‌주차 키오스크를 조작하는 김진철 심의위원, 하단에는 기둥이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마감재가 다르다.

‌주차 키오스크를 조작하는 김진철 심의위원, 하단에는 기둥이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마감재가 다르다.

거대한 건물 속 구석구석 닿은 섬세한 손길

점검은 건물 밖에서부터 시작됐다. 우리 원 BF인증팀의 송창수 과장과 이대한 대리는 사전 점검 사진과 점검표를 대조하며 줄자로 수치까지 꼼꼼히 재검토한다. 그 사이 김진철 심의위원(이하 김 위원)은 건물로 들어오는 길목의 단차를 확인하고, 갈 수 있는 곳을 모두 직접 이동했다. 홍서준 씨는 건물 밖에서부터 이어지는 점자블록을 따라서 입구에 도착해, 점자안내판을 손으로 읽어보고 하단의 음성 안내 버튼을 눌러 봤다. 그러자 이내 안내 음성이 크고 선명하게 울려 퍼졌다.
건물 안으로 들어서자, 기둥이나 장애물이 단 하나도 없는 탁 트인 공간이 눈에 띈다. 계단에 설치된 안전 손잡이에는 모두 점자안내판이 붙어 있다. 화장실 앞에도 붙어 있는 점자안내판에는 세면대와 변기의 위치 및 종류까지 상세히 표시됐다. 휠체어가 진입하기에 충분한 넓이인 다목적 강당은 입구에서부터 세심한 배려가 엿보였다. 강당 중앙은 비우고 뒤편에 계단식 좌석이 따로 마련됐다. 또한 성인 무릎 높이의 낮은 단상 옆에는 계단 겸용 수직형 휠체어 리프트까지 설치되어 있었으나 김 위원은 리프트보다는 경사로가 있었으면 더 편리하였을 것 같다고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다. 주차장인 지상 3층에 도착한 김 위원이 주차요금 키오스크를 조작하다가 무언가 발견했다. 바로 기둥 주변을 감싸고 있는 푹신한 재질의 바닥 마감재다.
“이건 시각장애인을 돕는 역할을 해요. 이곳에 기둥이 있으니까 조심하라고 알려주는 거죠.”
홍서준 씨가 다가와 발끝으로 마감재를 느끼며 설명했다.
이어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들어서자, 김 위원이 감탄을 감추지 못한다.
“여기 잘해 놨네요. 차간 공간을 따로 확보했죠? 게다가 통행로가 곧바로 건물로 이어지게 했잖아요. 이런 부분이 잘해 놓은 거예요. 회차 공간에 겹치게 해 놓는다든지 그런 곳도 많거든요.”
거동이 힘든 사람은 하차 후 건물로 이동하는 중에도 교통사고의 위협이 있는데, 그 부분을 방지한 것이다.
이렇게 수정커뮤니티센터는 거대한 규모임에도 섬세한 손길이 구석구석 닿아 있다. 단순히 어느 한쪽만 일방적으로 배려한 것이 아닌, 다각도 설계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구분 없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접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계단 하부공간을 조경으로 조성했다.

‌접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계단 하부공간을 조경으로 조성했다.

위례동 행정복지센터 전경

위례동 행정복지센터 전경

행정서비스를 넘어선 복합청사 ‘위례동 행정복지센터’
(인증기간 : 2021.2.9. ~ 2031.2.8.)

위례동 행정복지센터는 성남시 수정구 위례순환로 125에 자리한 5,199㎡ 규모의 복합청사다. 행정 업무를 볼 수 있는 1층을 시작으로 지하 1, 2층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포함한 주차장이다. 2층에는 각종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주민자치센터, 3층에는 대강당 및 어린이 놀이터와 어린이 도서관, 4층에는 문화교실과 도서관까지 다양한 시설이 한 건물에 있다.
점자블록을 따라 건물 입구에 도달하면 왼편에는 장애인 전동보장구 충전소, 중앙에는 점자안내판이 있다. 경사 없는 평지로 1층 행정복지센터에 들어서면 휠체어 이용자도 편히 사용할 수 있는 낮은 책상에서 직원을 대면해 민원을 처리할 수 있다. 계단실로 들어서자 계단 끝부분에는 계단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형광색으로 칠한 부분이 눈에 띈다. 각종 프로그램이 열리는 2층 체력단련실은 어디에도 단차가 없다. 김 위원이 직접 살펴본 샤워실에는 앉아서 씻을 수 있는 의자, 그리고 안전 손잡이가 양쪽에 달려 있어서, 거동이 힘든 사람에게 도움을 준다.
도서관에는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PC 코너가 마련되어, 문자 확대가 가능한 PC와 음성지원 PC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지는 테라스로 나가자 널찍하고 평평한 휴게 공간이 나타난다. 독특한 점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마감재로 처리하는 자리에 식물을 심어 화단을 마련한 것이다. 위례동 행정복지센터는 복합청사로서 편의를 위한 꼼꼼함은 물론이고, 심미적 감각까지 놓치지 않았다.

‌안전손잡이를 잡고 계단 아래 점자블록을 
                    살피며 점검하는 김진철 심의위원

‌안전손잡이를 잡고 계단 아래 점자블록을 살피며 점검하는 김진철 심의위원

‌의자와 안전 손잡이가 설치된 샤워 시설을 점검하는 김진철 심의위원

‌의자와 안전 손잡이가 설치된 샤워 시설을 점검하는 김진철 심의위원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그날까지

유니버설디자인환경부 BF인증팀 이영환 팀장은 “BF인증에 있어 모든 시설이 인증 획득 시점과 동일하게 시설물을 유지·관리하고 있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장애인·비장애인 모두가 편리하게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살펴보고 개선해 나가며 인증기준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 원은 앞으로도 장애인 당사자와 함께 현장을 확인해, 시설을 실제로 사용하는 장애인의 의견을 반영해 모두가 이용 가능한 환경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BF인증 사후관리 개요

BF인증 사후관리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을 취득한 건축물이 인증을 받은 때와 동일한 수준(환경)으로 유지·관리되고 있는지 점검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인증기준에 적합하게 수정 요청을 하고 있다. 조치를 이행하지 않으면 인증이 취소된다.

BF인증기간

10년

사후관리 절차

주요 점검내용

노후화 등으로 인한 시설 미비사항, 인증 취득 후 시설물 구조·변경에 대한 점검과 노후화, 잠금, 폐쇄, 가구 설치 등 시설 유지·관리 미비 사항에 대한 점검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