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UNIVERSAL DESIGN WEEK
일정
자세히 보기

공감주간 소개

한국장애인개발원 UD환경정책기획팀

문의하기

02-3433-0689 02-3433-4590

About UD Week

UNIVERSAL DESIGN

유니버설디자인은 성별, 연령, 국적, 문화적 배경, 장애 유무에도 상관 없이 누구나 손쉽게 사용하는 제품 및 사용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으로 다양한 사람을 포용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입니다.

Universal design is the concept of ‘‘Design for All,’ which focuses on creating products and environments that are accessible and usable by everyone, regardless of factors like gender, age, nationality, cultural background, or disability.

유니버설디자인 공감주간
Universal Design Week

모든사람을 포용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요성과 나아가야 하는 방향 등에 대해 이해와 공감대를 나누며
유니버설 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고자 마련된 주간입니다. 누구나 유니버설디자인을 이해하고 취지에 공감할 수 있도록
국제세미나, 전시·체험, 아이디어 대전, 홍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We aim to share understanding and foster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that embraces all people and its direction toward the future.
UD Week offers a variety of programs, including an international seminar, exhibitions and experiences, an idea competi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to
help everyone understand and resonate with the purpose of universal design.

  • 공감주간(UD Week) : 09. 03. (수) ~ 09. 09. (화)

    • < 국제세미나 >
      International Seminar
      2025. 09. 05. (금)
    • < 공모전 시상식 >
      Award Ceremony
      2025. 09. 06. (토)
    • < 전시·체험 >
      Exhibition
      2025. 09. 03. (수) ~ 2025. 09. 09. (화)

※ 기간 및 장소는 주최측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Please note that the dates and location are subject to change depending on the organizer's circumstances.

유니버설디자인의 원칙

7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1.
공평한 사용
Equitable Use
능력이 각기 다른 사람들에게 유용하고 판매가 가능한 것
Provide the same experience to everyone when possible.
2.
사용자의 융통성
Flexibility in Use
개인의 다양한 기호와 능력을 폭넓게 수용
Accommodate a wide range of individual preferences and
abilities.
3.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Simple and Intuitive Use
경험, 지식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
측면
Design the product or environment to be easy to understand and use.
4.
쉽게 인지 가능한 정보
Perceptible Information
주위의 상태나 사용자의 지각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 쉽게 인지
Communicate necessary information
effectively to the user.
5.
오류에 대한 포용력
Tolerance for Error
의도하지 않았던 행동으로 인한 불리한 결과와 장애를
최소화, 오류와 장애의 결과적 측면의 예방에 초점을 둠
Minimize hazards and the adverse consequences of
accidental or unintended actions.
6.
적은 물리적 노력
Low Physical Effort
사용 시 최소한의 피로감으로 느끼면서 효율적으로 사용
Design the product or environment to be used efficiently
and comfortably.
7.
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사용자의 신체크기, 자세, 이동과 상관없이 접근하여 손 닿고 조작하기 적합한 크기와 공간을 제공
Provide appropriate size and space for approach, reach, manipulation, and use.

한국장애인개발원 유니버설디자인환경부 UD환경정책기획팀 TEL : 02-3433-0689E-mail : ud@koddi.or.kr
Copyright(c), KOD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