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UNIVERSAL DESIGN WEEK
일정
자세히 보기

유니버설디자인 서체

한국장애인개발원 UD환경정책기획팀

문의하기

02-3433-0689 02-3433-4590

UD Font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이란 상품, 시설,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성별, 나이, 장애 등으로 인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보편적인 디자인을 뜻합니다.
서체에 유니버설 개념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은 일본의 이와타 서체를 시작으로 십여년 넘게 조금씩 움직임이 있어 왔으며, 한글 서체에 있어 모두가 읽기 좋은 서체에 대한 정보 및 선택의 폭이 미흡한 실정입니다. 이에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는 고령층과 저시력인까지 아우르는 유니버설디자인 서체를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합니다.

Universal Design refers to a design concept for products, facilities, and services that ensures users are not restricted due to factors such as gender, age, or disabilities. The movement to introduce universal concepts into fonts began with the Iwata typeface in Japan and has gradually been evolving for over a decade. Likewise, Korean fonts also require designs that are easy for everyone to read. To address this, the Korea Disability Development Institute aims to develop and distribute a universal design typeface that caters to both the elderly and individuals with low vision.

콘셉트 및 디자인 특징 1

      Concept and Design Features 1

변별력이 높은
high distinguishability
낱자간 인식이 쉬운
easy recognition
between characters
읽기 편안한
easy to read
"더 많은 사람들이 읽기 쉽도록"
"to make it easier for more people to read"

KoddiUD 온고딕 서체는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담은 서체로 ‘더 많은 사람들이 읽기 쉽도록’만들어 졌습니다.
고령자나 노안, 저시력자 등 시력 약자들도 인지하기 쉽도록 만들어진 글꼴로서 기존의 고딕 서체를 분석하여 오독의 여지가 높고 인지상의 문제가 있는 글자들을 미리 연구하여 작은 글자 등 열악한 글자 상황에서도 판독의 문제가 없도록 하였으며 장식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중립성을 높이고, 인쇄용으로 익숙한 명조 꼴의 편안한 손맛을 응용하여 고딕 글꼴임에도 불구하고 가독성 높게 디자인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개발과정에서 시각장애인 30명을 포함한 10~70대 332명을 대상으로 타 고딕 글꼴과 함께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판독성, 가독성의 우수함을 검증받기도 하였습니다.
KoddiUD 온고딕 Bold, Regualr는 제41회 장애인의날(2021년 4월 20일)을 맞아 배포되었으며, 2021년도에 Extra Bold를 추가 개발하여 사용자가 보다 많은 환경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을 접할 수 있도록 온고딕의 글자가족을 확장하였습니다.

The KoddiUD On Gothic typeface is designed with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created "to make it easier for more people to read." It was developed to be easily recognizable by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including the elderly, those with presbyopia, and people with low vision. The font was designed by analyzing existing Gothic typefaces to address characters that were prone to misreading or had recognition issues. These issues were carefully studied and corrected, ensuring the font is legible even in small sizes or under poor visibility conditions. By eliminating decorative elements, the font maintains neutrality, while incorporating the comfortable handfeel of a Ming-style typeface commonly used in print. Despite being a Gothic font, it is designed for high readability

Most importantly,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usability evaluations were conducted with 332 participants, including 30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cross a wide age range of 10 to 70 years. The font's superior legibility and readability were confirmed through these tests, alongside comparisons with other Gothic fonts.

KoddiUD On Gothic Bold and Regular were released on April 20, 2021, in celebration of the 41st Disability Day. In 2021, an Extra Bold version was additionally developed, expanding the KoddiUD type family to allow users to access Universal Design in a wider range of environments.

콘셉트 및 디자인 특징 2

      Concept and Design Features 2

글자 뼈대는 기존의 고딕 서체에 비해 초성 꼭지나 중성 곁줄기를 더 부각시켜 판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 되었다.

The structure of the characters has been designed to enhance readability by emphasizing the initial consonant corners and the medial stroke sidebars more than in traditional Gothic typefaces.

굵기 단계

      Weight Levels

KoddiUD 온고딕 서체는 Regular, Bold, Extra Bold 3가지 굵기로 구성된다.

The KoddiUD OnGothic typeface consists of three weights: Regular, Bold, and Extra Bold.

글자폭과 글줄

      Text Layout

글줄은 사각중심을 중상단으로 배열했다.

글자폭은 가로, 세로, 섞임 모임 모두 고정폭 960unit으로 동일하게 설계되었다.

The lines of text are arranged with a square-centered alignment at the upper-middle.

The character width is designed to be uniform across horizontal, vertical, and mixed compositions, all fixed at 960 units.

한글 특징 1

      Characteristics of Hangul 1

글자 여백(side spacing)을 일정한 값으로 주어 낱자간의 인식율을 분명히 하였다.

열악한 글자 상황에서도 또렷하게 보일 수 있도록 공간 및 자소 설계를 하여 판독성과 시인성을 높였다.

Consistent side spacing has been applied to enhance the clarity of individual characters. The spacing and letterform components were carefully designed to improve legibility and readability, even in challenging text environments.

한글 특징 2

      Characteristics of Hangul 2

인지상의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을 최대한 고려하여 오독의 여지가 없도록 유사 자소의 변별력을 높였다.

Potential cognitive issues were thoroughly considered to minimize misreading, enhancing the distinguishability of similar letter components.

영문, 숫자 특징

      Characteristics of Latin Letters       and Numerals

인지상의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을 최대한 고려하여 오독의 여지가 없도록 유사 자소의 변별력을 높였다.

영문 x-height를 높여 판독성을, 글자 폭을 넓게 하여 높은 시인성을 확보한다.

Potential cognitive issues were thoroughly considered to minimize misreading, enhancing the distinguishability of similar letter components.

The X-height of the Latin letters has been increased to improve legibility, while the character width has been widened to ensure higher visibility.

서체 활용 매뉴얼

      Font Usage Guide

KoddiUD
온고딕 활용 매뉴얼
다운로드

서체 다운받기

      Font Download

window
자동설치버전
다운로드
Mac
자동설치버전
다운로드
OTF
파일
다운로드
TTF
파일
다운로드
webfonts
(EOT, WOFF, WOFF2)
파일
다운로드

설치가이드

      Installation Guide

KoddiUD
온고딕 설치가이드
다운로드

한국장애인개발원 유니버설디자인환경부 UD환경정책기획팀 TEL : 02-3433-0689E-mail : ud@koddi.or.kr
Copyright(c), KOD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