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콘텐츠 모니터링’ 직무에 대해 알아보자
이동보조기기 분해 세척·소독
Q.
이동보조기기 분해 세척·소독 직무는?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등 이동보조기기를 분해·세척 및 소독·조립하는 것이 주요 업무이며, 업무수행 중 간단한 경정비의 업무 또한 함께 수행하는 직무를 말한다.

Q.
이동보조기기 분해 세척·소독에 필요한 능력은?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직무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보조기기의 기본 정의, 공구명칭, 사용방법 등 이론교육과 직무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에 대비한 안전교육 또한 필요하다. 또한 실습으로 업무수행을 익힐 수 있도록 직업적응훈련을 충분히 한 뒤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
* 직무지도 방법 및 유의사항
- 보조기기 분해·세척·조립에서 사용하는 공구 사용방법과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 여러 명(3~5명 이내)이 함께 직무를 수행하므로 협동성이 요구된다.
- 오염물질 및 세정제 흡입 방지를 위한 장갑, 마스크 등 안전복장 착용이 필요하다.
- 발달장애인의 경우 직무배치 후에도 직무 적응 및 유지를 위한 직무지도원이나 잡 코치의 배치가 필요하다.
다회용품 대여 및 세척·관리
Q.
다회용품 대여 및 세척·관리 직무는?
다회용품 대여소에 비치된 다회용품을 대여 및 세척·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일회용품 반입 금지 안내 및 민원응대를 위한 직무를 말한다.

Q.
다회용품 대여 및 세척·관리에 필요한 능력은?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직무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다회용품 대여방법 등 이론교육과 직무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에 대비한 안전교육 또한 필요하다. 다회용품 대여, 세척 직무는 반복적이며 단순한 직무로 3~5주 정도 직무를 수행한다면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직무 특성상 위생 관념이 중요하다.
-
* 직무지도 방법 및 유의사항
- 개인위생관리가 철저하며 위생 관념이 필요하다.
- 기물의 파손 우려가 있으므로 양손을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 약 4시간 이상 서서 근무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
- 배치기관 관계자 및 직무지도원의 장애에 대한 이해 및 배려가 필요하다.
온라인 콘텐츠 모니터링
Q.
온라인 콘텐츠 모니터링 직무는?
온라인 내에서 일어나는 인권차별, 불법복제물, 성인물, 광고물 등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는 직무를 말한다.

Q.
온라인 콘텐츠 모니터링에 필요한 능력은?
회의와 교육을 통해 시정조치가 필요한 단어를 확인하고, 이해가 어려운 단어에 대해 질문할 수 있다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특히, 담당자의 업무 안내를 이해하고, 문제 사항에 대해 보고해야 하며 교육을 통한 온라인 내 검색을 주로 해야 하므로 독립적으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으면 된다.
-
* 직무지도 방법 및 유의사항
- 다양하고 복합적인 직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장기적이고 전문적인 사전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 사전훈련에는 직무 이론 교육, 컴퓨터 활용교육, 단축키 활용법 등을 진행하여 개인별 직무이해도 및 수행능력과 이해능력을 파악하고 실무교육을 진행, 교육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직무에 배치하여야 한다.
- 업무 수행 시 단어교육과 주제회의 등 지속적인 업무 지원이 필요하므로 전담인력의 배치가 중요하다.
- 원활한 업무 진행을 위해 질문과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하므로 배치기관 담당자의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