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성 듣기

디딤돌 음성으로 듣기

본문영역
디딤돌 인포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시설,
얼마나 될까요?

정리. 편집실 + 자료출처. <보건복지통계연보(2024.6 공표)>
보건복지부는 매년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지역사회재활시설 등 장애인복지시설의 증감 추이를 조사 및 분석해 장애인의 기능 회복과 사회성 향상, 소득보장, 이동 및 접근의 장벽 제거를 위한 종합적인 장애인복지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를 통해 국내 장애인복지시설 현황을 살펴본다.

직업재활시설 및 장애인 근로자 꾸준히 증가

장애인복지시설 중 직업재활시설은 2018년 651개소, 2020년 720개소, 2021년 773개소, 2022년 786개소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이후 직업재활시설의 지속적인 신·증축을 통한 시설 확충으로 장애인 근로자 수 역시 매년 꾸준하게 늘고 있다.

직업재활시설 현황
(단위: 개소)

2018년 651개소 2019년 683개소 2020년 720개소 2021년 773개소 2022년 786개소

장애인 근로자 수 현황
(단위: 명)

2018년 18,205명 2019년 19,056명 2020년 19,734명 2021년 20,504명 2022년 20,672명

우선구매 제도에 따른 생산시설 근로자 증가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은 2019년 630개소, 2020년 674개소, 2021년 722개소, 2022년 762개소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 확대 및 지정 생산시설 수 증가에 따라, 생산시설에서 일하고 있는 장애인 근로자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1.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특별법」 제7조 동법시행령 제10조에 따라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은 기관 총 물품 및 용역 구매액의 1% 이상을 중증장애인생산품으로 구매해야 함.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현황
(단위: 개소)

2018년 580개소 2019년 630개소 2020년 674개소 2021년 722개소 2022년 762개소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장애인 근로자 현황
(단위: 명)

2018년 12,704명 2019년 13,597명 2020년 14,584명 2021년 15,361명 2022년 16,100명

장애인 거주시설 입소자 수 감소추세

장애인 거주시설 수
(단위: 개소)

2018년 1,519개소 2019년 1,553개소 2020년 1,539개소 2021년 1,534개소 2022년 1,532개소

장애인 거주시설 입소자 수
(단위: 명)

2018년 29,676명 2019년 29,659명 2020년 29,086명 2021년 28,565명 2022년 27,946명

장애인 거주시설은 소규모화 정책으로 소규모 시설(단기, 공동 등)이 증가했고, 전체 거주시설 입소자 수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장애인복지시설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장애인 거주시설의 입소자 수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른 장애인 주택 및 주거시설과 관련한 서비스를 확충하고, 기존 대규모 장애인 시설을 가정형 소규모 시설로 개편하는 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