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애인복지시설,
얼마나 될까요?

직업재활시설 및 장애인 근로자 꾸준히 증가
장애인복지시설 중 직업재활시설은 2018년 651개소, 2020년 720개소, 2021년 773개소, 2022년 786개소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이후 직업재활시설의 지속적인 신·증축을 통한 시설 확충으로 장애인 근로자 수 역시 매년 꾸준하게 늘고 있다.
직업재활시설 현황
(단위: 개소)

장애인 근로자 수 현황
(단위: 명)

우선구매 제도에 따른 생산시설 근로자 증가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은 2019년 630개소, 2020년 674개소, 2021년 722개소, 2022년 762개소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 확대 및 지정 생산시설 수 증가에 따라, 생산시설에서 일하고 있는 장애인 근로자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특별법」 제7조 동법시행령 제10조에 따라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은 기관 총 물품 및 용역 구매액의 1% 이상을 중증장애인생산품으로 구매해야 함.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현황
(단위: 개소)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장애인 근로자 현황
(단위: 명)

장애인 거주시설 입소자 수 감소추세
장애인 거주시설 수
(단위: 개소)

장애인 거주시설 입소자 수
(단위: 명)

장애인 거주시설은 소규모화 정책으로 소규모 시설(단기, 공동 등)이 증가했고, 전체 거주시설 입소자 수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장애인복지시설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장애인 거주시설의 입소자 수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른 장애인 주택 및 주거시설과 관련한 서비스를 확충하고, 기존 대규모 장애인 시설을 가정형 소규모 시설로 개편하는 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