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서비스 제도를 안내해 주는
AI 챗봇 ‘챗코디’를 소개합니다
‘챗코디’는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는지, ‘챗코디’의 모든 것을 알아본다.

‘챗코디’란?
기존 장애인복지 민원 대응은 전화 또는 내방 상담 중심이었다. 챗코디는 기존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상담 서비스 선택권을 확대하고자 AI 기술을 적용해 제작됐고, 설계할 때 주 이용자인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해 ‘한국 웹 접근성 평가센터’의 자문을 받아 개발했다. 챗코디는 24시간 비대면 장애인복지서비스 상담과 안내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챗코디의 가장 큰 장점은 주말·공휴일 상담과 이동권 제약 대상자에 대한 신속한 민원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카카오톡 기반으로 구축해 앱 추가 설치 필요 없이 카카오톡 이용자들이 채널 추가만으로 챗코디를 이용할 수 있어 이용자의 이용 편의를 향상했다.
그럼 이제, 챗코디가 어떤 정보를 제공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장애유형, 정도, 성별, 나이,
소득 등 장애인의 개별 특성 및 욕구를 고려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안내
장애등급제 폐지 배경,
주요 내용, 단계적 폐지
방안 등 안내
수요자 중심 장애인 지원체계 관련 서비스 안내
(맞춤형 상담 시뮬레이션,
동행 상담, 서비스 수급
희망 이력
관리 등)
장애등록을 위한
최저 장애 정도 기준 및
필요 서류 등 안내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평가
기준 및 지표, 신청 및
결과 활용 등 안내
장애인 활동 지원 내용,
신청 자격, 종류 등 안내
소득, 건강, 주거, 일상생활,
보육 및 교육, 문화 및 여가,
안전 및 권익 등 관련
장애인복지서비스 안내
한국장애인개발원
설립 근거, 주요 사업,
오시는 길 등 안내



2023년 12월 챗코디에 도입된 ‘나에게 맞는 서비스 찾기’ 기능은 지자체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이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으로 시행할 수 있는 ‘맞춤형 상담 시뮬레이션’ 기능을 모든 국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적용한 기능이다.
‘나에게 맞는 서비스 찾기 기능’을 이용하면 매년 기준 및 내용이 변경되는 중앙부처 120여 개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해서 이용자의 장애유형, 장애정도, 나이, 성별, 소득, 욕구 등에 따라 이용 불가한 서비스는 자동 제외하고 신청가능한 서비스만을 선별적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자신의 장애유형, 장애정도, 연령 등을 고려한 맞춤형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챗코디 ‘나에게 맞는 서비스 찾기’ 화면을 클릭하거나 대화 입력창에 ‘내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뭐야?’, ‘지체장애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 등과 같이 메시지를 입력하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