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지대 없는 사회적 돌봄 체계 구축

최중증 장애인 24시간
통합돌봄서비스란?
발달장애인에 대한 맞춤형 일대일 돌봄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사각지대에 놓인 발달장애인과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는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등록 지적·자폐성 장애인 중 도전행동이 심하고
일상생활 수행과 의사소통에서 심각한 제약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 및
사회환경 특성에 따른 지원 필요도가 높아 통합돌봄이 필요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도 등을 고려하여 24시간
개별 일대일 지원, 주간 개별 일대일 지원, 주간 그룹 일대일 지원
등 3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중 24시간 개별 일대일 지원은
주중 지역사회 낮활동과 야간돌봄(주거 생활)을 포함한 돌봄
서비스를 말한다. 낮에는 재미있는 활동을 하고(09:00~19:00) 밤에는
안전하고 편안하게 잘 수 있도록 도와주며(17:00~09:00),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이용할 수 있다. 단, 금요일은 오후 8시까지 운영한다.
다양하고 즐거운 낮활동,
안전하고 편안한
주거생활
24시간 통합돌봄이 제공되는 만큼 다양하고 재미있는 낮활동과 편안하고 안전한 주거생활이 모두 보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사회의 여건과 환경에 따라 낮에는 체육, 요리, 야외 활동은 물론 심리 및 정서 지원 활동 등을 할 수 있으며 밤에는 별도로 마련된 시설에서 씻고 식사하고 잠드는 일상생활을 누리고 설거지, 빨래, 쓰레기 버리기 등의 가사 활동을 익힐 수 있다.
서비스 주요 내용
일상생활 훈련 |
신체 활동 | 개인 위생 관리·신체 기능 유지·보장구 관리·신변 처리 |
---|---|---|
가사 활동 | 식사 관리·가사 유지 관리·의복 관리 | |
금전 관리 | 수입지출 관리·통장 관리·도장 관리·카드 관리 | |
의사소통 | 의사소통 방식 확인·AAC(보완 대체 의사소통) | |
건강 안정 | 안전 환경 구성·안전서비스 관리·안전 점검·식단 관리 지원 | |
취미 활동 | 통합(체육) 활동 | 특수체육·수영·댄스·등산·요가·볼링·탁구·스트레칭·체조 등 |
요리 활동 | 요리 체험 | |
생태 활동 | 원예·텃밭 가꾸기 등 | |
예술 활동 | 음악·미술·도예·사진 찍기·공예품 제작·난타, 등 | |
야외 활동 | 전시회 관람·소풍 등 | |
자립 생활 | 낮활동 지원 | 복지시설 이용·지역사회 시설 이용 |
지역사회 활동 | 동호회 활동 | |
관계 지원 | 자조 모임·친구 관계 지원 | |
권익 옹호 활동 | 위기 대응 지원·의사 결정 지원·자기주도 역량 강화 지원 | |
의료 지원 | 감각통합 활동 약물 지원·수면 관리·입원 | |
행동 지원 | 도전행동 지원 | 긍정행동 지원·심리 안정 지원·심리 정서 지원·집중행동치료·스노젤렌 등 |
가족 지원 | 가족 교육 | 부모 훈련·정보 제공 |
가족 상담 | 가족 동료 상담 | |
가족 자조 모임 | 배우자 모임·부모 모임·형제자매 모임 | |
휴식 지원 | 가족 힐링 캠프 지원·가족 관계 회복을 위한 휴식 지원 |
* 위 프로그램은 예시로, 참고하여 제공기관별 적정 프로그램 구성
*좌우로 스크롤 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어떻게 신청하고
누가 선정될까?
24시간 개별 일대일 지원을 이용하고 싶다면 신청서를 작성하여
급여 대상 발달장애인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로 신청하면 된다. 방문·우편·팩스 모두
가능하며, 신청을 마치면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에서 집으로
방문해 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시도 서비스조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시군구에서 대상자 선정 결과를 알려주는데, ‘결정(적합)’으로
결과가 나오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전행동의 심각성을
중점으로 일상생활과 의사소통 능력 등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선정 결과는 선정 후 30일 내에
나온다. 올해는 전국적으로 340명을 선정해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현재는 지역에 따라 신청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용자로 선정되면 발달장애인지원센터에서 이용자나 보호자의
의견을 고려해 집 근처나 원하는 곳의 제공기관에 이용자를
배치한다. 기관 부족, 사업량 초과 등의 사유로 선정자가 즉시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지역발달센터에서 대기자로
관리하고 추후 신속하게 배치하고 있다. 또 대상자로 선정된
후에는 이용자와 보호자 모두 서비스 이용 전 반드시 교육에
참여해야 하며, 사업에 대한 안내와 이용자 준수 사항을 숙지해야
한다. 수급 자격 유효 기간은 3년까지이며, 서비스조정위원회에서
다른 서비스로 전이 가능성 등을 심의하여 갱신할 수 있다. 24시간
개별 일대일 지원은 1년씩 2번 연장을 통해 최대 5년까지 이용
가능하다.
추가 신청 및 지원 관련 내용이 궁금하다면?
권역별 발달장애인지원센터에 문의하세요!
서울 | 02-2135-3635 |
---|---|
경기 | 031-548-1393 |
제주 | 064-803-3714 |
충북 | 043-716-2163 |
광주 | 062-714-3352 |
세종 | 044-414-9172 |
부산 | 051-714-7360 |
경북 | 054-805-7310 |
인천 | 032-715-4367 |
충남 | 041-415-1215 |
---|---|
대전 | 042-719-1085 |
전남 | 061-802-1062 |
대구 | 053-719-0340 |
경남 | 055-716-2390 |
강원 | 033-817-2357 |
전북 | 063-714-2610 |
울산 | 052-710-3154 |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누리집
www.broso.or.kr/mainPage.do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누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