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자료실 연구보고서
연구책임:
발행일: 보고서종류: ISBN:
목적:
- 8월 13일, ‘부산시 장애인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사업’ 대상가구서 현판식 진행
- 한국예탁결제원 총 2억 원 사업비 지원, 한국장애인개발원 설계 및 시공 담당, 부산시 사업지원 대상자 모집 및 선정
한국장애인개발원(원장 변용찬)와 한국예탁결제원 KSD나눔재단(이사장 유재훈), 부산광역시(시장 서병수)가 공동으로 실시한 부산시 저소득층 장애인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작업이 마무리됐다. 8월 13일 오후 1시 30분 사업지원 대상자인 황 씨(여?44?뇌병변1급)가 거주하는 부산 동구 자성로 자성대아파트 B동건물 앞에서 현판식이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변용찬 한국장애인개발원장, 한일수 한국예탁결제원 KSD나눔재단 경영지원본부장, 하애란 부산광역시 장애인복지과장, 류지용 부산광역시 동구 경제복지국장이 참석했다.
한국장애인개발원과 한국예탁결제원 KSD나눔재단, 부산광역시는 2013년부터 부산 지역 내 저소득층 장애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업 첫 해인 2013년 장애인 40가구를 지원한 데 이어 올해에는 46가구를 지원했다.
올해 한국예탁결제원이 사업비 2억 원을 지원해 부산광역시에서 2월 사업지원 대상가구를 모집, 선정하고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대상가구의 개선 요구사항을 수렴해 설계 및 시공을 진행했다. 출입로 경사로 공사, 화장실 내부 공사 등 장애 유형에 따라 맞춤형으로 주거편의를 지원했다.
이날 현판식이 진행된 황 씨의 집은 지어진 지 40년이 넘은 노후된 아파트이다. 황 씨는 일흔셋의 어머니와 단 둘이 20여 년이 넘게 이곳에서 살아가고 있는데 집안 곳곳이 낡아 황 씨가 생활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황 씨는 지난 2월 지역 주민센터 복지사의 도움으로 ‘장애인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사업’ 대상자 모집에 신청했다. 4월 황 씨의 집이 사업 대상가구로 선정된 이후 부산광역시와 한국장애인개발원 담당자가 황 씨 집을 방문해 개선요구 사항과 장애유형에 맞는 주거환경 개선상황을 점검해 갔다. 7월부터 8월까지 공사가 진행된 이후 이동에 불편을 주었던 방문턱이 없어지고 벽면 일체에 핸드레일이 설치되었으며 화장실 변기 및 세면대 옆에 손잡이가 생겼다. 황 씨와 어머니는 공사 진행 과정에서 장판과 도배가 함께 이루어져 집 곳곳이 정리가 되고 깨끗해져 크게 만족해하고 있다.
변용찬 원장은 이날 현판식에서 “집 안 생활이 많은 장애인 당사자분들에게 주거환경은 매우 중요하다”며 “부산으로 본사 이전을 앞두고 있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웃들을 돕기 위해 사업비를 지원하고 부산시에서 주거환경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장애인 대상가구를 선정해줘 사업 진행이 잘 마무리되었다”며 감사를 전했다.
한편, 부산시 장애인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사업의 대상가구 현황을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영도구, 사하구, 사상구가 각각 7명씩으로 가장 많았으며, 북구(5명), 금정구(4명), 동구(3명), 해운대구(3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체장애(24명), 뇌병변장애(13명), 지적장애(3명), 정신장애(3명), 시각장애(2명), 신장장애(1명)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