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사업 일자리사업 장애인일자리 사업개요
장애인일자리사업의 참여자 현황 (단위: 명)
구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
---|---|---|---|---|---|---|---|---|---|---|---|
총계 | 14,594 | 14,879 | 14,827 | 16,352 | 17,352 | 19,852 | 22,396 | 24,896 | 27,546 | 29,546 | |
일반형 일자리 |
전일제 | 4,844 | 4,903 | 4,746 | 4,746 | 4,746 | 5,446 | 6,190 | 6,690 | 7,190 | 7,590 |
시간제 | - | - | - | 1,525 | 1,525 | 1,825 | 2,125 | 2,775 | 3,425 | 3,925 | |
복지일자리 | 8,850 | 9,010 | 9,044 | 9,044 | 10,044 | 11,244 | 12,444 | 13,644 | 14,844 | 15,794 | |
특화형 일자리 |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사업 |
600 | 703 | 760 | 760 | 760 | 760 | 860 | 910 | 1,110 | 1,160 |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
300 | 263 | 277 | 277 | 277 | 577 | 777 | 877 | 977 | 1,077 |
장애인일자리사업은 만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이면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단,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피부양자 제외), 사업자등록증이 있는 자, 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 장애인일자리사업 2년 이상 연속으로 참여한 자, 최근 1년 이내 참여 중단 조치를 받은 자, 기타 해당직무의 업무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자는 장애인일자리사업에 참여가 제한됩니다.
구분 | 일반형 | 복지형 | 특화형 | |||
---|---|---|---|---|---|---|
전일제 | 시간제 | 참여형 | 특수교육-복지연계형 |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사업 |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 |
모집기관 | 거주 지역의 시‧군‧구청 및 민간위탁기관 | |||||
참여기간 | 1월~12월(12개월) | |||||
참여대상 | 만 18세 이상 장애인복지법상 등록된 미취업 장애인 | 만 18세 이상 장애인복지법상 등록된 미취업 장애인 | 2023년 기준 전공과 학생(※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실습 가능한 시점부터 참여가능) | 만 18세 이상 장애인복지법상 등록된 미취업 시각장애인 중 「의료법」 제82조 및「안마사에 관한 규칙」제3조에 의거한 안마사 자격인증을 받은 자 | 만 18세 이상 장애인복지법상 등록된 미취업 지적장애인 또는 자폐성 장애인 | |
근무시간(1월-11월) | 주 5일 (40시간) | 주 20시간 | 주 14시간 이내 (월 56시간) | 주 5일 (25시간) | ||
근무시간(12월) | 주 5일(37.5시간) | 주 19시간 | 주 5일(23.5시간) | |||
지원인원 | 7,590명 | 3,925명 | 15,794명 | 1,160명 | 1,077명 | |
업무내용 | 행정도우미,전담지원 행정도우미, 복지서비스 지원요원,직업재활시설 지원요원(일반형 시간제에 한함) | 도서관 사서보조, 주차단속보조, 환경정리, 디앤디 케어 등 참여자의 직업능력을 반영한 42개 맞춤형 직무수행 | 어르신 대상 전문 안마서비스 제공 | 요양보호사 업무 보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