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자료실 연구보고서
연구책임: 김승완
발행일:2014-12-26 보고서종류:정책연구 ISBN: 978-89-6921-174-3 93330
목적: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장애인 중장기정책계획 사례를 RBA 접근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을 크게 수립 과정, 프레임워크, 주요 내용 측면에서 분석하여 향후 계획에 반영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함.
요 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3. 연구수행체계
Ⅱ. 이론적 논의
1. RBA 개념 및 핵심원칙
1) RBA 개념
2) RBA 접근의 핵심원칙
3) RBA 접근과 Human Rights Indicators
2. 선행연구 검토
1) 장애인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2) RBA 및 장애인 중장기정책계획 관련 선행연구
3. 장애인 중장기정책계획의 국제적 흐름
1) UN장애인권리협약
2) 유럽의회(Council of Europe)의 장애인 인권 주요 권고 사항(2008)
3) 유럽연합 장애 전략 2010-2020(European Disability Strategy 2010-2020)
4. 권리에 기반한 장애인 중장기정책계획의 분석틀
Ⅲ. 주요 선진국의 장애인 중장기정책계획
1. 호주
1) 수립과정 측면
2) 프레임워크 측면
3) 내용 측면
2. 스웨덴
1) 수립과정 측면
2) 프레임워크 측면
3) 내용 측면
3. 독일
1) 수립과정 측면
2) 프레임워크 측면
3) 내용 측면
4. 아일랜드
1) 수립과정 측면
2) 프레임워크 측면
3) 내용 측면
5. 소결
1) 국가별 RBA 주요 지표
2) 시사점
Ⅳ.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의 검토
1. 기존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의 쟁점 및 한계
1) 제1차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
2) 제2차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
3) 제3차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
2.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의 심층 분석
1) 수립과정 측면
2) 프레임워크 측면
3) 내용 측면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1) 거시적 측면
2) 미시적 측면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