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자료실 연구보고서
연구책임:
발행일: 보고서종류: ISBN:
목적:
- 2월 9일부터 13일까지 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및 28개 장애인복지단체 통해 1차 접수 후 2월 23일부터 27일까지 올해의장애인상위원회 운영사무국으로 추천기 관별 각 1명씩 2차 접수
- 4월 중 수상자 O명 최종 확정 후, 4월 20일 제35회 장애인의 날 기념식에서 시상
네 손가락의 피아니스트 이희아 씨(선천성 사지기형, 3회 수상), 영화 말아톤의 실제 주인공 배형진 군(발달장애, 9회 수상), 방송인 이동우 씨(시각장애, 16회 본명 ‘김동우’로 수상) 등에 이어 장애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선사한 이들에게 수여하는 ‘올해의 장애인상’ 주인공을 찾는다.
올해의장애인상위원회는 2월 9일부터 13일까지 수상후보자 추천기관(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및 28개 장애인복지단체)을 통해 1차 접수 후 2월 23일부터 27일까지 올해의장애인상 운영사무국(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 추천기관별 각 1명씩 2차 접수 받는다.
추천기관은 한국장애인개발원 홈페이지(www.koddi.or.kr)에서 공적조서 및 공적개요서, 개인정보제공동의서 등 양식을 내려받아 작성하고 이력서, 사진(반명함판), 경력 또는 재직증명서 등 관련서류를 준비해 기간 내 제출하면 된다.
올해의장애인상위원회는 3월 중 후보자에 대한 공적확인 및 심사를 진행하고 4월 중 수상자 O명을 최종 확정한다. 시상식은 제35회 장애인의 날(4월 20일) 기념식 일부 순서로 진행되며 수상자에게는 메달(대통령 명의) 및 상금 각 1,000만 원씩이 전달된다.
올해의 장애인상은 1996년 9월 15일 우리나라가 제1회 루스벨트 국제장애인상 수상을 계기로 그 이듬해인 1997년 ‘올해의 장애극복상’으로 제정되었으며 2009년 ‘올해의 장애인상’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지난 1997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개최돼 18회까지 총 118명이 수상했으며 역대 수상자 중 장애계 인사로, 서울시의회 박마루 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지체장애, 5회 박순일(개명전 이름)로 수상), 윤두선 중증장애인독립생활연대 대표(뇌병변장애, 10회), 김재익 굿잡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소장(뇌병변장애, 11회), 이문희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차장(지체장애, 11회), 김충현 한국장애인미술협회장(지체장애, 12회), 서인환 한국장애인재단 사무총장(시각장애, 14회), 권순기 대구여성장애인연대 대표(지체장애, 15회) 등이 있다.
올해의 장애인상 관련 기타 문의는 올해의장애인상 운영사무국(한국장애인개발원 대외협력팀 02-3433-0642)으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