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자료실 연구보고서

프린트

중증장애인 바리스타 등 직원 채용하는 가게, 전국 6개 시·도에 들어선다

연구책임:

발행일:   보고서종류:   ISBN:

  목적:

- 한국장애인개발원, 1월 29일 서울 이룸센터서「공공기관 연계 중증장애인 창업형 일자리사업」공모에 선정된 경상북도 영주시청 등 지자체 및 공공기관 6곳과 업무 협약 체결

- 올 상반기 중 지난 2014년 사업 수행기관 11곳에 카페 및 가게 개설

 

경상북도 영주시청, 대구세명학교, 서울시 은평구청, 인천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전라남도 광양시청, 충청남도 논산시청 등 지자체 및 공공기관 6곳에 중증장애인을 바리스타 및 판매원 등 직원으로 채용하는 카페 및 매점이 들어선다.

 

이들 지자체 및 공공기관은 지난 2014년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와 한국장애인개발원(원장 변용찬)의 「공공기관 연계 중증장애인 창업형 일자리사업」공모에 선정, 1월 29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한국장애인개발원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변용찬 한국장애인개발원장, 경상북도 영주시청 문창주 자치안전국장, 대구세명학교 박철진 교장, 서울시 은평구청 김창겸 사회복지과장, 인천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양희남 부센터장, 전라남도 광양시청 박말례 사회복지과장, 충청남도 논산시청 조상환 사회복지과장 등이 참석했다. 또, 일반 시민 160여 명이 함께 자리해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마련한 이동카페에서 커피 무료 시음행사를 가졌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지난 2014년 「공공기관 연계 중증장애인 창업형 일자리사업」공모를 통해 총 12곳의 기관을 선정, 지난해 1곳에 카페가 개설된 데 이어 이날 협약을 체결한 6곳을 포함, 총 11곳도 올 상반기 중으로 카페 및 매점을 개설할 예정이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은 향후 사업선정 기관 내 카페 및 매점 개소를 위해 시설?인테리어 설치비 및 장비 구입비를 각각 5,000만 원 내에서 지원한다. 사업선정 기관은 지역의 직업재활전문기관을 통해 카페 및 매점을 위탁운영하며 카페의 경우 바리스타 교육을 받은 중증장애인이 직원으로 일하게 되며 매점의 경우 판매원으로 일하게 된다.

 

한편, 공공기관 연계 중증장애인 창업형 일자리 지원사업을 통해 지난 2012년부터 올해 1월 현재까지 31곳이 선정됐다. 카페 및 매점(가게) 통합 20곳이 문을 열었으며 중증장애인 70여 명이 고용돼 일하고 있다.

 

첨부파일
  • 이전글
  • 다음글
  • 목록

정보공개

인쇄하기

tex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