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알림 뉴스레터 KODDISSUE
등록일 : 2018-09-20 l 조회수 : 2244
우리는 모두 장애인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다
<출처: The Conversation>
호주 인구의 약 5%에 달하는 120만 명의 호주인은 의사소통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의사소통 장애는 말하기, 언어, 듣기, 이해, 읽기, 쓰기 또는 사회성 기술(social skills)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상태를 가지고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의사소통 장애는 뇌성 마비 또는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 평생 지속될 수 있으며, 뇌졸중이나 실어증, 운동신경질환, 그리고 외상성 뇌 손상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 또한 의사소통장애가 올 수 있다. 모든 사람들은 일을 하고 관계를 형성하며,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얻기 위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그러한 일들에 참여하고, 포함되는데 있어 많은 장벽을 경험할 것이다.
뇌졸중 생존자의 약 30%는 언어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인 실어증을 겪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화에서 배제된다는 것은 사회적 접촉과 대화의 기회가 줄어 외로움과 고립감, 우울증, 불안과 두려움을 낳는다. 실어증이 있는 사람들은 소외감과 열등감 그리고 수치심을 느끼곤 한다. 그들은 말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는 있으나,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과 대화에 대해 여전히 인지하고 있으며 기여하고 싶어 한다. 따라서 지지를 아끼지 않는 대화 상대는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의사소통 접근을 개선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1. 의사소통 장벽을 없애라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종종 다른 사람들이 그들을 마치 바보인 것처럼 대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태도는 의사소통의 장애물이 된다. 스피치 능력과 인지능력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은 의사소통할 권리가 있다. 따라서 그들을 다른 사람을 대하는 것과 똑같이 대하고, 그들에게 직접 말하며, 질문하라.
2.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준비
의사소통 장애는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당사자나 그들의 가까운 지인에게 그 사람이 의사소통을 하는 방법과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에 대해 물어보라. 얼굴 표정과 제스처를 사용하면 정보를 전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이는 특히 그 사람이 대화를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더욱 도움이 된다.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상대방이 대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고, 기다리는 동안의 침묵에 익숙해 져라. 또한 "네"와 "음"과 같은 간단한 단어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말에 능동적인 듣기를 하고 있음을 나타내면 좋을 것이다. 이것은 상대방이 적절한 말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경험하는 좌절감과 걱정을 줄여줄 수 있다. 만약 그 사람이 의사소통을 위한 기기를 사용한다면, 그들이 하고 있는 것을 지켜봐주고 평상시처럼 반응하면 된다. 그건 그저 또 다른 대화의 방법일 뿐이기 때문이다.
3. 함께 대화하기
만약 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힌트나 상기시킬 수 있는 말로 그 사람이 단어를 생각해 낼 수 있도록 도와줘라. 만약 그 사람을 이해하지 못했다면, 이해한 척 하지 말고, 계속 이해하도록 시도해 보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하라. 한 개인의 인지-의사소통 기술은 그들이 사회적 상황, 고용, 그리고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경험할 때 향상될 수 있다. 뇌 손상을 입은 사람들 또한 대화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들을 배울 수 있다.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의사소통에 대한 그들의 권리에 접근하기 위해서 궁극적으로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는 공동체가 필요하다. 모든 환경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은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들에 관여하고, 상호작용하며, 참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은 신체 장애인이 물리적 접근을 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다.
References
1. The Conversation (28 Aug 2018), We can all help to improve communi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flawed, Retrieved 3 September 2018, from https://phys.org/news/2018-08-people-disabilitie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