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정보제공

사업 유니버설디자인환경 주거정보제공

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부엌은 취사행위가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이므로 시각장애인에게 주택의 어느 영역 보다 중요하며, 가스와 전기를 많이 사용하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주방기구 및 식기류의 사용빈도 및 크기에 따라 보관과 사용이 편리하도록 수납가구를 배치하고 시스템화하는 등 공간을 기능적으로 계획하도록 한다. 이러한 배려를 통해 장애인은 신체적 결함이 보완되어 일의 능률이 오르고 자립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부엌은 통풍, 채광, 온도 등을 고려해 남쪽, 동쪽 방면에 배치하고 식당은 부엌의 크기 및 식탁과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음식을 들고 이동하는 거리가 최대한 짧도록 계획한다. 또한 부엌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작업에 맞추어 가전용품 및 작업대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음식준비가 쉽도록 하며 모든 조리대 표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식탁까지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수납장은 시각장애인이 주방용품 및 식기류를 정리하거나 보관할 때 사용빈도 및 용도별로 수납하기 쉬운 구조여야 한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들은 찬장의 전면에 두고 무거운 물건들은 낮은 쪽 선반 위에 두며 커피, 차, 설탕 등은 같은 공간에 수납하도록 한다. 또한 잡다한 물건을 한곳에 정리하고 물품구매 횟수를 줄이려면 주방에 여분의 수납공간을 마련해 두는 것이 좋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은 음식준비를 위해 조리대 위에 모든 재료와 도구를 순서대로 배열해야 쉽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조리대 상판의 길이는 최소한 1200mm가 되어야 한다.

식사를 위한 공간은 독립된 전용공간으로 하고 다목적으로 이용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은데 겸용할 경우 상황을 판단하는데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부엌배치 종합도






  •      1. 바닥과 구별이 용이한 하부장
  •      2. 상부장 아래에 부착된 작업조명
  •      3. 작업대 상파노가 대비를 이루는 개수대
  •      4. 샤워기능을 가진 수도꼭지
  •      5. 안전하고 청소가 용이한 가열대
  •      6. 선반이 문짝에 부착된 코너장


정보공개

인쇄하기

tex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