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정보제공

사업 유니버설디자인환경 주거정보제공

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욕실은 한번 부적절하게 만들어지면 개조하기 힘든 공간일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화상, 부딪힘에 의한 사고 등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으므로 주택 내에서 가장 섬세하고 까다로운 공간계획과 조명계획을 필요로 하는 곳이다. 특히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목욕이나 샤워 시간이 길기 때문에 겨울철 난방대책과 함께 가족을 위해 별도의 화장실을 마련하는 등, 일반적인 욕실에서 간과하기 쉬운 점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

위생설비 개념도 욕실은 침실 가까이 있는 것이 좋으며 밝고 쾌적한 환경을 위해 창문을 내는 것이 좋다. 시각장애인은 안전을 위해 보다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데 욕실의 규모가 작을 경우, 욕조보다는 샤워부스를 설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는 머리감기 및 샤워가 부스 내에서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핸드레일이 부착되어 있다면 욕실 바닥의 비누거품이나 물로 인한 미끄럼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습도조절의 측면에서도 욕실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욕실의 가구는 한쪽 벽에 일렬로 배치해서 요철을 줄이며 바닥, 벽, 그리고 위생 설비 등 색채효과로 약시자가 구별하기 쉽도록 한다 <5-1>.
욕실배치 종합도


  •      1. 공간 확인을 위한 색채변화
  •      2. 경사진 바닥
  •      3. 견고하게 부착된 수평 손잡이대
  •      4. 카운터식 세면대
  •      5. 냉온수 통합용 싱글레버
  •      6. 벽에 내장된 욕실용품
  •      7. 경사진 세면대 거울
  •      8. 거울 양측의 조명등
  •      9. 접이식 의자
  •      10. 턱이 진 코너 욕실용품 받침
  •      11. 높이 조절이 용이한 샤워기
  •      12. 벽에 내장된 휴지걸이


정보공개

인쇄하기

tex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