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욕실은 한번 부적절하게 만들어지면 개조하기 힘든 공간일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화상, 부딪힘에 의한 사고 등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으므로 주택 내에서 가장 섬세하고 까다로운 공간계획과 조명계획을 필요로 하는 곳이다. 특히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목욕이나 샤워 시간이 길기 때문에 겨울철 난방대책과 함께 가족을 위해 별도의 화장실을 마련하는 등, 일반적인 욕실에서 간과하기 쉬운 점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
욕실 출입문은 미닫이문의 경우 비상시를 대비하여 밖에서도 열 수 있는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하단 대신 상단부에만 레일이 부착되도록 하되 문의 하단부분을 통해 욕실 내 외부 공간의 소음이나 욕실 내에서 발생하는 물이 새어나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여닫이문의 경우도 비상 상황을 고려하여 밖으로 열리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늬 손잡이는 바닥면으로부터 80~90cm 사이에 레버식으로 설치하고 사용 중 표시는 잠금장치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되 눈에 띄기 쉬운 위치에 촉각으로도 욕실 사용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