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청각장애인은 장애특성상 이동보다는 이용(사용) 즉, 의사소통의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시설이용 시 문자서비스나 경보시스템의 종합적인 인식(화재, 가스, 도난방지. 천재지변, 비상사태, 전화착신, 호출 등)기기의 설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은 최근의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인텔리전트(지능형) 주택의 도입을 통해 청각장애인의 주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텔리전트 주택의 정보 배선망은 청각장애인의 거주환경을 지원하는 기능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선망을 이용하여 주택에서의 신호와 제어를 환경제어시스템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환경제어시스템은 청각장애인의 주거환경을 지원하는 각종 경보시스템(화재, 가스, 도난방지. 천재지변, 비상사태, 호출 등). 방문객확인시스템, 요리지원시스템, 주동출입시스템, 무선단말기, 홈 오피스, 방문객 확인장치로서 초인종 벨소리 인지용 전기신호장치(점멸등 혹은 진동장치), 무선비상 경보장치, 진동침대, 조명 기구 그리고 커튼 조절기 등 많은 기구를 상호연동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컴퓨터로 작동되는 이 시스템은 안전을 점검하거나 방에 사람이 없을 때 방안의 온도를 자동으로 낮추기도 한다.
환경시스템의 제어는 기기에 따라 손동작에 의하지 않고 간단히 스위치만으로 바람을 불어넣거나 반대로 숨을 들어 마심으로써 작동되는것도 있다. 호흡으로 작동되는 기기, 진동레버, 통신 보조기, 소형컴퓨터 등을 이용해야 할 경우에는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따로 설명서를 써서 함께 붙여 두어야 한다. 진동 스위치는 가격이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전등이나. 에어콘, 텔레비전, 그리고 인터콤 등에 많이 사용된다.
청각장애인을 위해서는 진동을 이용한 통신시설을 고려하도록 한다. 또한 전기 솔레노이드 침대 진동기. 진동호출기, 그리고 다양한 강력팬 등도 고려할 만하다. 청력이 좋지 못한 사람은 이어폰을 사용하면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소리를 확대할 수 있다. 초인종과 경보기는 주파수가 10,000HZ 이하인 것을 선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