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 옷에 새 가치를 더해요! 직무 개발에도 찾아온 ESG 바람

업사이클링 · 리사이클링 직무란 무엇인가?
업사이클링은 버려지는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더해 새 상품으로 탄생시키는 것으로 새활용 개념, 리사이클링은 불용품이나 폐물을 재생해 이용하는 재활용 개념이다. ESG 환경 분야 전반의 업무를 할 수 있는 직무이다. 버려지는 폐의류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무언가로 재탄생시켜주거나, 재활용 상품을 만드는 일이다.
직무난이도는 어떤가?
우리 원은 직무 개발 시 헌 옷으로 양말을 만드는 업사이클링을 진행했다. 직무난이도가 낮아 업무를 익히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어떤 능력을 갖춰야 하나?
작업물의 색상별 분류와 재질 구분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재단 도구 사용을 위해 양손 협응이 가능해야 한다. 양손 협응이 가능한 중증장애인에게도 적합한 직무이다.

직무에 필요한 능력은?
① 공간력, 형태 지각력이 필요해요
헌 옷 같은 작업물을 종류별로 구분 · 분류할 수 있어야 하고 지정된 의류함에 분리해서 넣어야 한다.
② 색을 분별할 수 있어야 해요
옷감의 색을 구별하기 위해 색 분별력이 요구된다.
③ 판단력 필요해요
옷의 경우 특성상 형태가 정형화되어 있지 않다. 옷의 구조를 판단하여 스스로 재단할 수 있어야 한다.
④ 인내성 있어야 해요
주로 앉아서 일하고, 반복적인 작업으로 진행되므로 인내성이 있어야 한다.
어디에서 일할 수 있나요?
공공과 민간 기관 등 일할 수 있는 곳은 다양하다. 공공기관으로 자원순환센터, 사회적경제지원센터(사회적가치센터), 새활용 및 재활용센터, 사회복지시설 등이 있다. 민간으로는 환경 분야 사회적기업, 업사이클링 제품 제작 업체, 환경교육 및 예술단체, 리필숍 등이다.
직무 환경은 어떤가요?
직무는 주로 실내에서 진행된다. 실내 작업이기 때문에 위험성 부분에서는 비교적 안전하다. 하지만 직무 특성상 폐자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먼지, 냄새, 소음 등은 발생할 수 있다. 근무자가 스스로 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진 마스크, 장갑 등을 필수로 착용해야 한다. 직무 공간 내 실내공기 순환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면 좋다.
직무 확대 가능성은?
공공·민간 전 영역 전반에 걸쳐 여러 형태의 업사이클링·리사이클링이 추진되는 상황이라 직무 확대 가능성은 높다. 화장품, 의류, 섬유, 가구 등을 만드는 대기업, 아름다운 가게, 폐현수막, 가방·비누 등 생활용품을 제작하는 사회적기업은 물론 새활용플라자, 지역 자원순환사업, 사회복지시설 등 공공기관으로 직무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다. 또한 ESG 경영을 실천하는 여러 기관과 협업하여 업사이클링 · 리사이클링 직무 배치를 유도할 수 있다.
직무 배치 시 주의사항 있나요?
장애인 스스로 폐자원 분류를 해야 하고, 재단 작업 시에도 자신이 스스로 결정하여 재단 순서에 맞도록 작업해야 한다. 작업 시 사용하는 재단 가위가 날카로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검수 과정에서 보조할 수 있는 보조 인력도 지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