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정보제공

사업 유니버설디자인환경 주거정보제공

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공동주택 및 개인주택에는 외부에서 현관에 이르기까지의 완충공간으로서 접근로가 마련되어 있다. 개인주택의 경우는 거주자의 안전과 이동을 도울 수 있는 해결 방안을 마련하여 출입을 용이하도록 하면 되나, 공동주택에서는 다가구의 공동 사용과 관리로 인해 소수의 장애인을 위한 환경조성에 소홀할 우려가 많다. 따라서 장애인을 위해 시설 및 설비, 신호체계에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여 다수의 비장애인도 안전하고 쾌적하게 현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 설치 개념도 엘리베이터는 눈에 잘 띄도록 승강기 문이나 문틀을 바닥이나 벽과 차별화시키도록 한다<1-14> 승강장 바닥과 승강기 바닥의 틈은 시각장애인의 지팡이가 빠지지 않도록 20 ∼ 30mm 정도로 한다. 승강기에는 호출버튼, 통화장치 등을 승강기의 안팎에 설치하며 조작반은 바닥으로부터 850mm 높이에 설치하되 누름 버튼의 경우 문자나 숫자를 돌출시키거나 <1-15>, 점자표지를 부착하여 촉각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조작반 설치 개념도
각 층의 승강장 및 승강기 내부에는 도착층 및 운행상황을 표시하는 점멸등 또는 음성신호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음성정보가 주위 소음보다는 적어도 10db이상 커야 한다.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는 중·저주파로 맞추어 놓는 것이 좋으며 20db이상을 유지한다. 또한 승강기 전면의 일부에 유리를 사용하면 승강기 내부의 상황을 외부에서 알 수 있어야 한다.


정보공개

인쇄하기

tex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