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정보제공

사업 유니버설디자인환경 주거정보제공

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거실은 주택의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온 가족이 화목을 다질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고려하여 시각장애인과 가족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하며, 가구의 형태 및 색채도 주변과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 애인은 거실 내에서 현재 위치 및 가구와의 거리감 등을 파악하기 힘들므로 바닥에 변화를 주는 것이 좋으나 단차를 주면 위험하므로 재질을 바꿔 발바닥의 촉감변화로 공간을 쉽게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마감재는 감촉이 좋고 탄력이 있으며 미끄럽지 않는 소재인 콜크계, 고무계, 목재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러움을 덜 타고 청소가 쉬워야 한다. 또한 시각장애인은 청각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교적 생생한 음향반사가 이루어지는 실내를 선호한다. 따라서 거실의 바닥마감재를 선정할 때 음흡수율이 높은 카펫을 전체적으로 까는 것은 안전성 측면에서는 권장할 만하나 음의 반사 측면에서는 좋지 않으므로 부분적으로 까는 것이 합리적이다.

부분 카펫은 유지관리도 쉽고 먼지도 덜 일으켜 위생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털이 짧은 것을 선택한다. 아울러 바닥의 색채는 어두운 색이 유지관리 면에서는 좋으나 빛의 흡수율이 높아 거실 전체가 어두워지므로 이에 대한 고려도 요구된다. 그리고 바닥의 색을 벽면이나 걸레받이와 차별화시키면, 방의 경계 및 구석 부분을 쉽게 구분할 수 있어 약시자가 공간을 이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거실배치 종합도






  •      1. 위치 인식을 위한 부분카펫
  •      2. 벽감형식의 수납장
  •      3. 빛 조절과 차단이 용이한 셰이드
  •      4. 동선을 방해하지 않도록 벽에 붙여진 소파
  •      5. 수직면이 많이 보이는 차탁자
  •      6. 각도 조절이 용이한 트랙 조명


정보공개

인쇄하기

tex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