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정보제공

사업 유니버설디자인환경 주거정보제공

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거실은 주택의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온 가족이 화목을 다질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고려하여 시각장애인과 가족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하며, 가구의 형태 및 색채도 주변과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실벽면 개념도

거실의 벽면은 시각장애인이 이동할 때 부딪히지 않도록 요철이 최소화된 구조여야 하며, 마감재는 감촉이 좋고 때가 잘 타지 않는 재료가 부담이 없다. 또한 거실 공간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허리선 높이에 벽과 대비되는 색으로 몰딩이나 판벽을 두르는 형태가 장려되는데 이는 방의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선유도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3-2>

스위치는 1200mm 정도의 높이나 그보다 약간 낮게 설치하며 모든 방에 같은 높이로 부착하는 것이 찾기 쉽고 조명이 붙어있으면 더욱 좋다. 스위치가 나란히 2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스위치에 점자표식을 해서 명확하게 그 쓰임을 알도록 한다.

전원콘센트의 높이는 380 ∼ 400mm로 너무 낮지 않아야 하며<3-3>, 연장코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만한 간격으로 곳곳에 부착하는데 7평 정도의 거실에는 6개 이상의 콘센트 설치가 장려되고 있다. 그리고 콘센트 옆에 플러그를 걸 수 있는 고리를 설치하면 바닥을 더듬거리지 않고도 쉽게 찾을 수 있어 좋다. 그 외 벽에 부착되는 온도조절기 등은 색채나 질감이 배경과 구별되고 문자가 커서 잘 보여야함은 물론, 조작하기도 쉬운 제품이어야 한다<3-4>.
콘센트와 온도조절기 개념도


정보공개

인쇄하기

tex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