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정보제공

사업 유니버설디자인환경 주거정보제공

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시각장애인에게 있어서 침실은 취침과 휴식이 주목적이므로 주택의 다른 영역에 비해 문제 발생율이 적은 곳 이나, 옷을 입고 벗고 정리하는 등 취침 이외의 다른 활동이 이루어지고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를 하지 못하면 인명피해의 가능성이 큰 곳이므로 이들에 대한 활동을 지원하고 안전을 도울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침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구는 침대, 옷장 및 이불장 그리고 수납장이다. 침대는 높이가 낮으면 무릎을 부딪힐 우려가 있으므로 약간 높은 것이 좋으며 침대 측면의 단단한 구조틀이 매트리스보다 튀어나오는 형태는 피하도록 한다. 그리고 침대 바로 옆에 놓이는 램프테이블의 높이를 침대 머리판의 높이와 맞추면 감각만으로도 물건을 쉽게 놓고 집을 수가 있다.

옷장 개념도 옷장이나 이불장은 내용물을 빼고 들여 넣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안쪽의 너비에 비해 열리는 문의 폭이 좁으면 안쪽 공간을 자유로이 이용하기가 힘들므로 전면 어느 위치에서나 완전히 열릴 수 있는 붙박이식 미닫이문이 공간 효율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간이식 옷걸이 시스템을 설치하면 사용자가 임의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자주 입는 옷은 노출시킴으로써 옷을 고르기도 쉬워 시각장애인에게 편리하다.<4-9>

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불장은 매일 사용되는데 붙박이식 벽면 수납장이 시각장애인에게 가장 적합하며 이는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안전하고, 수납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이다. 이불장 문은 신체에 부딪힐 걱정이 없는 미서기문이 바람직하다. 헤매임 없이 수납물을 찾고, 이불을 쉽게 넣고 빼기 위한 방법으로써 장의 내부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하면 계절별로 이불을 수납할 수 있고 중간에서 꺼내더라도 와르르 무너지는 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

붙박이식 서랍을 계획할 때에는 서랍 전체가 밖으로 밀려나올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원하는 물건을 뒤적임 없이 쉽게 찾을 수 있다.


정보공개

인쇄하기

tex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