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정보제공

사업 유니버설디자인환경 주거정보제공

편의시설의 필요성 및 바른설치 등에 관한 인식개선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장애물 없는 사회환경을 만드는
사회적 기반 마련에 기여 합니다.

경보신호기 1 경보 신호기는 건물 내의 사람들에게 위험한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는 시각적인 신호기와 청각적인 신호기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건물 내의 사람들에게 경계태세를 갖추도록 한다. 모든 사람들은 자기 자신과 다른 건물에 있는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비상경보장치를 작동시키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경보기와 비상호출 상자의 제어 및 작동장치는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야 하고 작동하기 쉬워야 한다.

경보신호기 2 안전한 탈출구를 설계할 때에는 필요한 비상구의 수량과 배치, 비상구까지의 이동 거리. 탈출로상의 정확한 조명시설, 그리고 피할 수 있는 위해요소를 지적해 주는 것은 물론 통로를 알려는 표지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가능한 한 비상표지판에는 휠체어 사용자뿐만 아니라 계단사용이 불가능한 기타 다른 사람들을 위한 정보도 싣는 것이 가장 좋다. 이들이 이용하는 탈출수단이 건물 내의 다른 사람들과 다를 경우 이런 정보의 필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표지판의 내용은 실질적인 비상문은 물론 따라가야 할 통로를 알려주는 내용도 담아야 한다.
비상표지판 개념도


정보공개

인쇄하기

text

TOP